본문 바로가기
뉴스

LH 직원 시흥, 광명 신도시 투기 의혹 , 경찰 조사 착수

by Ruvla 러블라 2021. 3. 3.
728x90

부동산 가격이 날로 치솟는 대한민국에서 투기 논란은 매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수도권 밀집 현상이 유달리 심한 한국은 서울에서 지리적으로 가까운 경기도가 신도시로 선정되는 경우가 많은데 , 신도시 선정 과정을 미리 알 수 있는 건설사 관계자들이 또다시 100억원대 투기 의혹에 휩싸여 시민단체가 이를 고발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또다시 일어난 공직원들의 투기 의혹에 국민들의 여론이 집중되고 있다. 

 

 

LH 직원, 신도시 지정 전 땅 매입해

3월2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약자: 민변)은 LH (한국 토지주택공사)  직원들에 대한 땅 투기 의혹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었다. 민변에 따르면 LH 직원 중 10명이 올해 1월 신도시로 선정된 지역 중 하나인 광명, 시흥 지구 내의 땅 약 7천 평을 미리 매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것이다.  이들이 매입한 땅들은 주로 농지인 전답 지역이 많았으며,  신도시 개발에 착수하면 보상금 또는 현금 대신 토지로 보상받는 대토보상이 가능한 곳으로 알려졌다.  LH 직원들과 가족 등의 명의로 산 땅의 매입금은 100억 원에 달하며 이중 58억 원 정도를 금융기관에서 대출한 것으로 추정됐다. 

 

 

경찰 수사 착수 

이에 따라 경찰은 시민단체 활빈단의 대표의 고발인 조사를 시작으로 본격 수사해 착수 할 전망이다. 경찰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LH 직원과 가족 등이 광명, 시흥 등에 100억 원가량의 땅을 매입했다는 고발장을 접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땅을 매입한 것으로 알려진 사람 14명 가운데 12명이 현재 LH에서 근무하는 직원이며 2명은 이미 현직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 토지주택공사는 언론에 이러한 사실이 발표되자마자 현직 종사자인 12명을 인사 조처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땅 투기 근절되어야

역대급으로 폭등한 부동산으로 인해 서민들의 삶은 점점 더 팍팍해져가고 있다. 그런 와중에 신도시 선정과정에서 일어난 LH 공직원의 투기 의혹은 다시한번 국민들을 분노케 하고 있다.  의혹에 휩싸인 직원들 중에서는 신도시 관련 보상업무 담당 소속 역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공직기강 비판을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국민들의 세금으로 일하는 공직자들이 모범이 되기는커녕 또다시 부동산 투기로 뉴스에 오르내리는 부끄러운 일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300x250

댓글